*선제(劉備)께서 창업하신지 반도 안 되어 중도에 돌아가시고 이제 천하는 셋으로 나뉘어 익주(益主)가 피폐하니, 이는 진실로 위급한 일로서 존망의 때입니다.
그러나 시위(侍衛)하는 신하가 안에서 게을리하지 아니하고 충지(忠志)의 무사(武士)가 밖에서 신명을 잊고 있는 것은 대개 선제의 특별한 대우를 추모하여 이것을 폐하에게 갚고자 하는것입니다.
진실로 마당히 성스런 귀를 열어 그로써 선제의유덕(遺德)을 밝게 기하며 지사의 절을 크게 넓히도록 할 것이요. 망녕되이 스스로 엷다 하여 비유를 끌어 의리를 잃어서 그로써 층간의 길을 막는 것은 옳지 못합니다.
*선제(劉備)께서 한실(漢室) 부흥의 왕업을 시작하신지 아직 그 반도 안 되어 중도에 붕어하셨습니다. 이제 천하는 촉한(蜀漢)과 위(魏), 오(吳) 셋으로 나뉘었는데 여기에 우리 촉한의 땅 익주(益州)가 싸움에 지쳐 쇠약해져 있으니 이야말로 진시로 위급한 때로서 존속하느냐 멸망하느냐 하는 국가의 중대한 시기라 아니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다행히 안으로는 임금을 모시어 호위하는 신하들이 주어진 소임을 게을리하지 아니하고, 밖으로는 충성스런 지사(志士)들이 신명을 바쳐 나라를 위하여 싸우고 있으니 이것은 아마도 전날에 입었던 선제의 특별하신 대우를 생각하여 그 은덕을 폐하께 갚으려는 것입니다. 그러니 이제 폐하께서는 참말로 밝으신 귀를 활짝 크게 넓게 여시어 신하들의 간하는 말씀을 너그러이 받아들임으로써 선제께서 끼치신 덕을 빛내시며 지사들의 기개(氣慨)를 더욱 크게 넓게 펼 수 있도록 하셔야 합니다.
공연히 스스로 덕이 없다 가벼이 여기시며, 신하들이 층간하는 말에 당치않은 비유를 들어 변명함으로써 마침내 바른 도리를 잃어 충의(忠義)에 찬 충신들의 바른 말씀 아뢸 길을 막아서는 아니됩니다.
*궁중과 부중(府中)이 하나로 한몸이 되니 선과 악을 올리고 벌주는 것에 틀림이 있어서는 안 됩니다.
만일 간사함을 지어 죄를 범하거나, 충선(忠善)을 하는 이 있거든 사직(司直)에 붙여서 그 형벌과 은상을 논정하여 그로써 폐하의 공평하고 정명(正明)한 다스림을 밝게 할 것이요. 사정에 치우쳐서 안과 밖으로 하여금 법을 달리해서는 안됩니다.
안에서 정치를 듣는 궁중과 밖에서 군사상의 정무를 보는 부중은 한치의 차이도 없는 한 몸 한 덩어리 입니다.
안이거나 밖이거나 선량한 사람은 상을 주어 벼슬을 올리고 악한 사람은 형벌을 내리되, 선을 상주고 악을 벌주는 일에 티끌만치라도 차별이 있어서는 아니 될 것입니다.
만일 간악한 일을 지어 죄를 범하는 이가 있거나, 또는 충실하고 선량한 이가 있거든 이는 마땅히 다같이 사직에 붙여 벌할 것은 벌하고 은상을 내릴 것은 은상을 내리도록 하여 그로써 폐하의 공평하고 정명한 정치를 명백하게 보이셔야 합니다.
조금이라도 사정에 치우쳐 궁중과 부중 곧 안과 밖으로 하여금 법을 달리하는 일이 있어서는 아니 될 것입니다.
*시중과 시랑인 곽유지와 비의 동윤등은 모두가 선량하고 진실하며 지려(志慮)가 충실하고 한결 같습니다. 이로써 선제가 간발(簡拔)하시어 폐하께 끼쳐 주셨으니, 우(愚) 생각컨대, 궁중의 일은 일의 크고 작음 할 것 없이 다 이들과 함께 의논하신 뒤에 시행하신다면 반드시 능히 빠진 것을 돕고 채워 널리 이익되는 바가 있을 것입니다.
장군 상총(向寵)은 성품과 행위가 선량하고 공평하며 군사에 밝게 통하여 있어 지난날에 시용되어 선제께서 이를 일컬어 능하다 하시어 이로써 뭇 사람들이 의논 하여서 총(寵)을 들어 도독(都督)을 삼았습니다.
우(愚) 생각건대, 영중(營中)의 일은 일의 크고 작음 할 것 없이 다 그와 함께 의논하시면 반드시 능히 군대로 하여금 화목하여, 우수하고 열등함이 적소를 얻게 될 것입니다.
시중(侍中)벼슬에 있는 곽유지와 비의, 그리고 시랑 벼슬에 있는 동윤 등은 다 선량하고 신실하며, 그 의지와 사려가 누구보다도 성실하고 한결같은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선제께서 그들을 선발하시어 폐하께 남겨주신 것입니다.
어리석은 신의 생각으로는 궁중의 일은 크고 작고 간에 그 모두를 이들 곽유지, 비의, 동윤 등을 불러 상의하신 뒤에 시행하신다면 반드시 정치의 빠지고 모자라는 점을 깁고 보충하여 널리 유익될 것으로 압니다. 그리고 장군 상총은 그 성품이 선량하고 행위가 공평하며 더욱이 군사에 환하게 통달해 있어, 일찍이 선제께서 이 사람을 시험하여 기용해보시고 군사에 뛰어난 재능이 있다고 칭찬하신 일이 있으며 이로써 여럿이 상의하여 상총을 들어 궁중의 위병을 통솔하는 도독으로 앉혔던 것입니다.
어리석은 신의 생각으로는, 진중의 일은 크고 작고 간에 그 모두를 상총을 불러 상의하신다면 반드시 군대는 화목하게 되고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뛰어난 대로, 열등한 사람은 또한 열등한 그대로 모두 자기가 지닌 재능에 따라 제 각기 알맞는 자리를 얻게 될것입니다.
*헌신을 가까이하고 소인을 멀리함은 이것이 전한의 흥성한 까닭이요, 소인을 가까이 하고 헌신을 멀리함은 이것이 후한의 기울어지고 무너진 까닭입니다.
선제께서 계실 때 매양 신과 더불어 이 일을 의논하시매, 일찍이 효환제와 효령제에 탄식하고 통한하지 아니한 적이 없습니다.
시중상서, 장사,참군 이는 모두가 곧고 성실하여 충절에 죽을 만한 신하들이니, 원컨대 페하께서는 이를 가까이하고 이를 믿으시면 곧 한실의 흥륭을 넉넉히 날을 헤어 기다릴 수 있을 것입니다.
어진 신하를 가까이 하여 중용하고 소인들을 멀리하여 내친 일, 이것은 바로 전한의 고조, 문제,무제때의 한창 흥성하여 잘 다스려던 까닭입니다.
소인을 가까이 하여 등용하고 어진 신하들을 멀리하여 내친 일, 이것은 바로 후환의 효령제가 천하를 망하게 한 까닭이었습니다.
선제께서 위에 계실 때 늘상 신과 더불어 전한, 후한의 흥하고 망한 그 까닭을 논하면서 일찍이 환제와 영제를 두고 탄식하며 가슴 아파하지 아니한 적이 없었습니다. 시중상서 벼슬에 있는 진진과 장사벼슬에 있는 장예 및 참군벼슬에 있는 장완 등은 다 곧고 성실한 신하로서 충절을 위하여는 죽음도 마다하지 아니할 신하들입니다.
원컨대 폐하께서는 이 사람들을 가까이하여 믿고 쓰신다면 한실의 흥성함을 날을 헤이며 기다린 만큼 빨리 보시게 될 것입니다.
신은 본래 포의로 몸소 남양에서 밭 갈며, 구차하게 성명을 난세에 보전하고 명문 영달을 제후에 구하지 아니하였더니 선제께서 신을 비천하다 아니 하시고 외람되게도 스스로 몸을 굽히시어 세 번이나 신을 초려 가운데 돌아보시고 신에게(당세)의 일로써 물으셨습니다. 이로 말미암아 감격하여 드디어 선제께 구치할 것을 허(許)하였습니다. 뒤에 경복함을 만나서 대임을 패군의 때에 받아 명령을 위난의 사이에서 받든 것이 그 뒤 이십일 년이 되었습니다.
선제께선 신이 근신함을 아시기 때문에 부어함에 임하여 신에게 부치기를 대사로써 하시었습니다.
신 공명은 본래 백의(白衣)의 한낱 평민으로서 남양군 용중에서 몸소 밭을 갈며 난세에 목숨을 보전하려 하였을 뿐, 제후 앞에 나아가 높은 이름과 영달을 구할 생각은 전혀 없었습니다.
그랬던 것이 선제께서 신의 미천한 신분을 천하게 여기지 아니하시고 외람되게도 그 고귀하신 몸을 낮추시어 세 번이나 신의 누추한 초가를 찾으시어 신에게 현실에 당면하여 해야 할 일들을 하문하셨습니다.
이 일로 말미암아 신은 너무도 감격하여 마침내 선제를 위하여 신명을 바쳐 일할 것을 허락하였던 것입니다.
그러한 뒤 건안 12년 당양의 장판에서 위의 조조에게 패하여 나라가 기울어질 무렵 패군하였을 그 때에 신이 오(吳)나라에 구원을 청하라는 명령을 받들어 위험하고 어려운 속을 달린지 어언 21년이 되었습니다.
선제께서는 신이 매사에 삼가고 조심하여 행하는 것을 아셨기 때문에 운명하실 때 신에게 적을 토벌하여 한실(漢室)을 부흥하라는 큰 일을 당부하셨던 것입니다.
명을 받은 이래로 밤낮으로 근심하고 탄식하며, 부탁의 효과가 없어 그로써 선제의 밝음을 상할까 두려워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오월에 노수를 건너 깊이 불모의 땅에 들어 갔습니다.
이제 남방이 이미 평정되고 병기와 갑옷도 이미 충족하게 되었으니 마땅히 삼군을 권면하여 이끌고 북쪽 중원을 평정해야 할 것입니다.
거의 노둔함을 다하여 간사하고 흉악한 사람을 물리쳐 없애고, 한실을 부흥하여 옛 도읍으로 돌아오게 하리니 이것은 신이 선제께 보은하고, 폐하께 충성하기 위한 직분이요, 손익을 짐작하고 나아가 충언을 다함에 이르러서는 곧 유지(攸之)와 의(褘)와 윤(允)의 책임입니다.
신이 선제의 유명을 받은 이래로 밤낮으로 근심하고 생각하였습니다.
신에게 한실 부흥의 대사를 부탁하신 보람이 없어, 그로하여 행여 선제께서 신 공명의 사람됨을 보시는 눈이 잘못되었다고나 하지 않으실지 두려워하였던 것입니다.
그러던 나머지 건흥(建興)3년 5월, 노수를 건너 초목조차 나지 않는 불모의 땅에까지 깊숙히 들어가 남만을 토벌하여 이제 남쪽은 이미 평정되었고 병기와 갑옷도 벌써 충분히 갖추었습니다.
이제는 마땅히 대군을 거느리고 한의 적인 위를 치러 북쪽 중원으로 들어가 이 땅을 평정하여야 합니다.
노둔하나마 있는 지혜와 있는 힘을 다하여 저 간사하고 흉악한 위의 조조의 아들 조비를 물리치고 한실을 부흥하여 왕도를 옛 도읍 장안으로 되돌아가게 하고야 말 것입니다. 이것이 신 공명이 선제의 두터운 은덕에 보답하는 한편 폐하께 충성을 다하기 위한 직분인 것입니다. 그리고 국가의 이익과 손해를 헤아려, 나아가 폐하께 충직한 말씀을 다하는 일은 바로 궁중의 일을 맡은 곽유지와 비의와 동윤 등의 책임입니다.
원컨대 폐하는 신에 맡기기를,적(賊)을 토벌하고 부흥하는 공훈으로써 하시어 공훈이 없으면 곧 신의 죄를 다스려 그로써 선제의 영에 고하소서, 만일 덕을 일으키는 말이 없거든 유지(攸之지)와 의(褘)와 윤(允) 등의 허물을 꾸짖어 그로써 그 태만함을 밝히시며, 폐하도 또한 마땅히 스스로 도모하여 그로써 선도(善道)를 물어 상의하시고 바른 말을 살펴 받아들여 깊이 선제의 유조(遺詔)를 좇으소서,
신이 은혜를 받은 감격을 이기지 못한지라, 이제 멀리 떠남에 당하여 표(表)에 임하려니 눈물이 흐르며 울음이 북받쳐 이를 알지 못하겠습니다.
원하옵건대 폐하께서는 신에게 적을 토벌하여 한실을 부흥하는 공훈을 세우도록 맡겨 주시옵소서. 그리하여 한실 부흥의 공훈을 세우지 못할 경우에는 신의 죄를 다스리시어 선제의 영(靈)앞에 고하소서.
한편으로 만일 폐하의 덕행을 돕는 바른 말씀을 올리지 않거든 곽유지와 비의와 동윤 등의 죄를 꾸짖어 그들의 태만함을 드러내소서. 그리고 폐하께서도 또한 몸소 일을 도모하시어 신하들에게 가장 좋은 방법을 묻고 의논하시며 부디 신하들의 바른 말씀을 잘 살펴 받아들이시어, 깊이 선제께서 끼치신 말씀을 따르소서.
신은 선제의 크신 은혜를 입은 감격을 이기지 못한지라, 오늘 멀리 정벌의 길을 떠나는 마당에 이 표(表)의 글월을 쓰려니 눈물이 흐르고 울음이 북받쳐 무어라 아뢸 바를 모르겠습니다.
'사(師)는'군사의 사(士)를 뜻하니, '출사(出師)란 출병(出兵)의 뜻과 같다.
곧 임금에게 출병할 것을 아뢰는 글이다.
삼국시대 위(魏)의 조휴(曹休)가 오(吳)나라 손권(孫權)에게 속아 오의 대장 육손(陸遜)과 석정(石亭)에서 싸우다 크게 패하였다.
촉한의 제갈공명은 이때를 놓치지 않고 한(漢)의 적인 위(魏)를 칠 것을 주장하였으나, 나라의 중신들은 모두가 안일한 생각만 하고 앉아서 이 일을 의심하였다.
이에 공명이 이 "표"를 써서 후주(後主) 유선(劉禪) 에게 올린 것이다.
이 표에는 전후 두 편이 있는데, 전편에는 건흥 5년에 올린 것이요, 후편 곧 <후출사표(後出師表)>는 그 이듬 해에 올린 것이다. 이 글을 두고 소동파(蘇東坡)는 말하기를 "공명의 <출사표>는 말이 썩 간결하면서 또한 그 뜻이 곡진(曲盡)하고 곧으면서도 방사(放肆)한 데 흐르지 아니하니, 크도다! 그 말씀이여! 「서경」의 이훈(伊訓). 열명(說命) 두 편과 안팎이 따로 없다. 진한(秦漢) 이래로 임금을 섬기며 아당(阿黨)하던 무리들이야 미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라고 하였다.
공명의 이 <출사표>야말로 참말로 가슴 속 그 깊은 곳에서 솟구쳐 나온 것으로, 읽는 이의 가슴을 찌르는 천하의 명문이 아닐 수 없다. 작자 제갈공명은 이름을 (亮)이라 하며, 공명은 그의 자이다. 촉의 낭야 사람으로 몸소 농묘에서 밭갈이 하며 매양 자신을 관중과 악의에 견주었다.
선주(先主) 유비(劉備)가 그의 어진 소문을 듣고 공명을 초치코자 세번이나 초가집을 방문하매 공명이 감격하여 마침내 세간에 다시 나오게 되었다.
선주 유비는 말하였다.
"나에게 공명이 있는 것은 마치 물고기에 물이 있는 것과도 같다" 라고 선주의 병이 위독할 때 제갈량을 불러 후사(後事)를 부탁하며 말하였다.
"그대의 재능은 위(魏)의 조조의 아들 조비(曹丕)보다 십 배를 더하니 반드시 한실(漢室) 부흥의 대사(大事)를 정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나의 사자(嗣子)를 도울 수 있거든 도우라! 만일 그가 재능이 없거든 그대가 스스로 이를 대신해도 좋다."
제갈량은 눈물을 흘리며 "신이 감히 있는 힘을 다하여 충정의 절(節)을 다할 것이요, 죽음으로써 이를 이을 것입니다." 라고 하였다.
"너는 승상(丞相: 亮)을 섬기기를 아비 섬기듯 하라."
제갈량은 선주는 후주(後主) 유선(劉禪) 에게 일렀다.
선주를 도와 위의 조조를 패망시키고 촉한을 세웠으며, 다시 후주를 도와 십만 대군을 이끌고 오장원(五丈原)에서 사마의(司馬懿)와 싸우다가 병이 위독하여 진중에서 죽으니, 그 때의 나이 54세였다.
시호를 충무(忠武)라고 하며, 「제갈무후집(諸葛武後侯集)이 전한다.」
諸葛孔明 (亮) 誡子書
제갈공명(량) 계자서
君子之行 靜以修身 儉以養德 非澹箔無 以明志
군자지행 정이수신 검이양덕 비담박무 이명지
非寧靜無 以致遠 未學須靜也
비녕정무 이치원 미학수정야
才須學也 非學無以
재수학야 비학무이
廣才非靜無以成也 慆慢則 不能硏精 險躁則不
광재비 정무이성야 도만칙 불능연정 험조칙불
能理性年輿時馳 意與歲去 遂成枯落 非嘆窮廬
능리성년여시치 의여세거 수성고락 비탄궁려
將復何及也
장복하급야
군자의 조행이란 고요한 마음으로 몸을 닦고
검소함으로써 덕을 기르는 것이다.
마음에 욕심이 없이 담백하지 않으면 뜻을
밝힐 수 없고 마음이 안정되어 있지 않으면
원대한 이상을 이룰수 없다.
배울때는 반드시 마음이 안정되어야 하며
재능은 반드시 배움을 필요로 한다.
배우지 않으면 재능을 발전시킬 수 없고
마음이 고요치 않으면 학문을 성취할 수 없다.
마음이 방자하고 오만하면 정밀하고
미묘한 이치를 깊이 연구할 수 없고
조급하고 경망하면 자신의 본성을
제대로 다스릴 수 없다.
이치를 제대로 밝히지 못하고 본성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하는 사이에 나이는 시간과 함께
달려가고 의지는 세월과 함께 사라지면서
마침내 가을날 초목처럼 시들어 갈 것이다.
그때 가서 곤궁한 오두막집에서 슬퍼하고
탄식해 본들 어찌할 것인가?
지옥처럼 삭막해질 것이다.